카테고리 없음

쌍령산(용인)

솟을산2 2011. 7. 19. 18:17

 

 

산행개요
산행일: 2011.7.17 일요일
산행지: 쌍령산(용인)
산행자; 홀로
날씨: 흐림, 차차 맑음
기온: 영상
이동경로: 강변역 (5800번 버스) - 용인터미널 (10번 버스) - 청소년수련관(평창리)
산행코스: 청소년수련관 - 독조봉 - 용실산 - 갈미봉 - 칠봉산 - 곱든고개 - 문수봉 - 바사리고개(임도) - △407.9(상원봉) - 쌍령산 - 경수산 - 경수교
산행거리: 도상거리 약 18km
산행시간: 총 8시간 30분
지형도

 

겨울보다 여름이 낫고,
비(雨)보다는 땡볕일지라도 화창한 날이 좋다.
장마 끝, 무더위 시작이라는 날, 연속 용인을 찾는다.
강변역에서 용인 가는 버스는 5600번과 5800번이 있다.
5600번은 수원을 돌아서 가니, 5800번을 타야한다.
정류소는  동서울터미널 방향이 아니고, 테크노마트 쪽이다.
버스 도착과 맞춰 좌석이 남지 않을 정도로 많은 인원이 승차한다.
그리고 잠시 후 잠실역에서 또 한번의 적지 않은 학생들이 승차하여
이미 버스안은 학창시절 등교때로 돌아간 기분이다.
주로 학생인 버스안은 담소로 시끌벅적하다.

에버렌드에서 거의 다 내리다시피 하여,
남은 인원은  너더댓명이 전부다.
용인터미널에서 하차하여
공용터미널 안으로 들어가 11번 홈에서 10번 버스를 기다린다.
수원에서 백암까지 가는 버스로 수시로 있다.

마을을 돌아 곧 평창리 청소년수련관 앞에서 내린다.
애초 좌전(좌찬)고개에서의  시작을  바꾸어,
등산객들이 주로 많이 오르는 용인 청소년수련관을 들머리로 잡는다
도로변에는 양지물류 창고가 있고, 
청소년수련관 표지판이 정면으로 세워져있다.
10분  따라 들어가면 수련관 건물이 나오고 그 옆 운동장을 가로 질러 간다.
끝까지 가면 우측으로 산행 안내도가 있는 들입이 나온다.
밧줄 팬스 구간을 따라 걷는다.
30분이면 첫봉인 독조봉에 닿는다.


청소년 수련관 입구

 


수련관

 


들머리

 


독조봉(432m)


아직 구름이 걷히지 않았다.
그래서 조망처인 이곳에서 볼 수 있는 건
흐리게 보이는 마을과 용담저수지 정도다.
독조봉에는 거리와 방향을 나타내는 표지목이 있는데,
문수봉지나 쌍령지맥 분기점까지 나타난다.

이후 크게 갈리는 구간을 주의하여 살피고,
뚜렷한 능선을 따르면 된다.
오후쯤 날씨가 개이면서 조망이 잡힌다.
칠봉산에서 벗어난 형제봉은 문수봉을 지나서야 보이고,
쌍령산을 지나면서는 건너편 구봉산이 뚜렷한 모습이다.


양지 스키장과 골프장

 


양지리

 


칠봉산(446.8m)

 

와우정사 갈림


와우정사

 


용담저수지

 


곱든고개

 


문수봉 가는 길

 


문수봉 오름길

 


문수봉(403.2m)

 


문수봉의 또 다른 정상석

 


문수봉의 팔각정자

 


석유 비축 시설

 


우측 봉우리가 쌍령지맥 분기점

 


쌍령지맥 분기점

 


바사리고개(임도)

 


△상원봉(407.9m)

 


미리내 성지로 가는 안부의 돌무지

 


17번 송전탑에서의 조망(가운데 나지막한 봉우리가 문수봉)

 


쌍령산(502m)

 


쌍령산 헬기장에서~


쌍령산의 또 다른 정상표지

 


학일리 고초꼴 방향 (우측 저수지는 학일2호지)

 


우측 뒤로 경수산

 


지나온 산맥

 


가운데 높은 곳이 쌍령산

 


개활지대에서~

 


개활지대에  홀로 선 소나무

 

 경수산 가는 중의 쉼터


목신리의 구봉산

 

경수산은 마루금 상의 327m의 연봉이 아니라,
삼각점인 있는 331.1봉이 정상이다.
지나치기 쉽지만, 확인차 들른것이 다행이다.
하산은 경수사 방향인데 못찾고,
조금 더 지난 곳에서 지능선으로 내리다 계곡에서 쉼한다.
계속 남으로 가면 고삼저수지 방향이다.


경수산(331.1m)

 


임도구간

 


뒤로 쌍령산과 지나온 능선

 


경수교에서 바라본 경수산

 

경수사 정류소(산중턱에 보이는 경수사)

※ 참고 15번 버스( 안성 → 원삼)
    오후 3:50, 4:50, 5:40, 6:30, 7:30, 8:50
    원삼 → 용인터미널 : 자주 있음(10-4, 11, 94번 )
    용인터미널 → 강변역 : 터미널 앞 고가도로 건너편 정류소에서 승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