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각흘봉~망무봉~망봉산(운천)

솟을산2 2019. 2. 4. 23:14



산행개요
산행일: 2019.2.4 월요일
산행지: 각흘봉~망무봉~망덕산(운천)
산행자: 홀로
날씨: 흐림
기온: 영상
이동경로: 포천- 운천
산행코스: 영북면사무소 - 영북초교 - 각흘봉 - 군도 - 망무봉 - 산정호수- 망봉산 - 하동주차장
산행거리: 도상거리 약 9km
산행시간: 총5시간
지도


경기도 운천 영북면사무소 앞마당에 주차한다
대중교통이 나쁜편은 아니나 발빠르게 다녀올려한다
가까이 영북초교를 지나면 절에 닿고 좌측으로 돌아 산행이정표가 있는 들머리에 도착한다
길은 동네 야산같아 반질하고 벌써 몇분은 내려오신다
비교적 완만한 능선이 수고로움을 덜게하고
정자가 있는 각흘정에서는 한숨쉬면서 조망한다
어제 겨울비가 와 오늘은 시야가 좀 트이겠구나 했는데 개뿔~


운천에 있는 영북면사무소 안에 주차한다



영북초교 방향으로 들어서고 - 보이는 앞쪽 낮은 능선으로 진입



막다른 골목에 닿고 여기서 좌측으로 튼다



모퉁이들 도니 산행들머리가 나온다



유순한 길



얼마간 오르니 각흘정이 나와 쉼하면서 운천시내 조망한다



반대편으론 가야 할 각흘봉이 보여지고


이어지는 된비알은 대수롭지 않고 갈림인 헬기장에서도 조망처가 된다
지형도상 각흘봉인 434봉은 또 다른 헬기장이고 그 동쪽 466봉이 각흘봉 정상이다

각흘봉에서도 조망은 펼쳐지는데 시계 탓만하고 내려선다
가파른 내리막에 암봉이 있어  우회하여 밧줄따라 간다
길은 삐삐선과 나란히 하는데 흙에 묻힌 선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운천시



영북초교와 영북중학교 갈림인 헬기장 - 뒤로는 고남산



군사기지쪽으로 한번가보면



두개의 봉우리인데 한쪽은 이렇고



다른 한쪽은 완전 조망처 - 우측 명성산 자락



명성산을 배경으로 앞쪽 각흘봉



각흘봉(466m)


각흘봉에서 서쪽



종자산 옆으로 향로봉 지나 북대로 이어지고 점점 희미해져



고남산과 금학산


내리다보면 철조망으로 담을 친 부대가 나와 좌측으로 진행하는데
크게 우회하는 형상이다
다행히 밧줄이 길 안내를 해 사면을 따라 가면 된다
부대를 벗어나 뒤돌아보면 각흘봉을 향하는 직선능선을 택하여
부대에서 철조망을 따라 갔던 선임자들의 후회막급했다는 후문도 있다


위험구간 우회



부대만나 좌틀



군도따라 올라서면



부대 정문인지 나오고 그 옆으로



아주 험한지형 잘도 엮어 놨다



그래도 심심치 않게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크게 힘들지 않게 본능선으로 복귀하면서 뒤돌아 본 각흘봉


송전탑 22번을 지나면 제대로 능선을 찾아 온 것이고
조금 지나니 골프장이 눈에 들어온다
능선잇기는 골프장 관계자와 실랑이 벌일일은 없다
큰 줄기를 찾아 진행하면 골프장을 크게 돌아 남으로 순탄한 진행이 될 것이다
골프장과 사격장 그리고 채석장까지 참으로 불편한 짓거리들이다

앞에 뾰족한 망무봉이  보이고 점점 거리는 가까워져 턱밑에서는 우회하여 협곡으로 들어선다
거대한 암석의 위협에 자라목처럼 움츠리고 미끄러운 부분에서는 드러난 나무 뿌리를 잡고 올라간다
망무봉에서의 조망도 으뜸이고 정상목까지 있어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어지는 능선이 길게 나타나고



한참을  돌아 여기쯤인가 산안고개 갈림이지 싶다



남으로 줄기차게 이어오다가 뒤돌아보는 능선 각흘봉은 저 넘어있어 보이질 않고



망무봉이 가까워지고 저길 어떻게 오르나?



우회하여 협곡으로 진입한다


일단 올라서면 일망무제 - 오길 잘했어~



망무봉(440m)



산정호수쪽으로 아~



책바위와 여우봉



근데 명성산은 어느 봉이지?



좌- 사향산  우- 관음산


명성산에 가려 아는자 만이 찾거나 알려고 하는 자만이 접할 수 있는 숨은 산이다
그 진가가 서서히 들어나는데 호수와 산이 만들어내는 조화로운 풍경은 감탄을 자아낸다
산정호수 구름다리를 건너 궁예 조각상에서 남으로 길따라 조금 가다 능선으로 올라가는 길이 보인다

가파르게 따르면 밧줄과 계단이 있어 정규등로임을 알 수 있다
망봉산도 지형도와는 다르게 현지에서는 북쪽의 361봉을 정상으로 간주한다
오늘은 거치는 정상마다 조망이 으뜸이라 만족은  극에 달한다
남쪽 382봉은 마무리 차원의 조망을 한눈에 할 수 있는 혜택까지 더해준다

서능을 택해 하동주차장으로 내려서면서 산행마치고
138-6번 버스나 10번 마을버스를 이용하여 영북면사무소에 갈 수 있다
매시 40분과 20분에 다니니 크게 불편하지는 않다


기암이 여러있지만 눈에 특히 뜨이네



구름다리 건너 다시 망봉산으로 고~



산정호수는 얼어있어 물 흐름은 정지되었고



주변에 산책길이 조성되어 걷기에 그만이다



좋은 경치는 눈이 시리도록 반복해 보고



내려선 망무봉



끝 갈림에 위치한 궁예 조각상



조각상에서 우틀하여 조금가다 계곡 열린 곳 능선으로 붙고





가파르게 올라 우측으로 허옇게 보여 다가가 얼린 폭포 확인한다



철계단있어 정규등로임을 확인하고



들머리엔 리본 몇개만 있고 정작 있어야 할 이정목은 없다는 아쉬움



망무봉 올라서면 또 한번 그림을 그리고



관인면에 펼쳐지는 산들



다시 내려와 올라서는 지형도상 망봉산(382m)



오늘 최고의 조망처 아니겠어



망봉산 뒤통수도 기막히네~



망무봉 좌 뒤로 각흘봉이 살짝 나타나 보인다 - 이로써 오늘 궤적이 한눈에



올해 눈이 귀한데 대신 쉽게 이어올 수 있었지



하동 정류소


--------------------------------------------------------------------------------------------------------


작업 중 손가락을 다쳤다
작년 말에 사고가 났는데 해를 넘겼으니 꽤 오래된 느낌이다
산행은 전적으로 자기 욕심 채우기인데 그만큼 못 간것보단
손가락 절단되지 않은 것 만으로도 위안 삼는다

계절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지도 못하고
그져 추우면 겨울이려니 여겼으니
감각만 살아있는 동물이다
새삼스레 짐승 운운하는 것도 다 늙어가는 징조인가보다

날씨는 한풀 껶여 산행하기 좋은편이나
지금 심정은 제대로 된 겨울을 느끼고 싶다

짖궂게도 억척스러워야 쓸말도 많은데
동네 야산 같은 비교적 평범한 산일지라도
간만의 나선 길이라 머리를 쥐어짜야 할 것이다

한걸음 내치는 발걸음이 느려
언제 저길 오르려나 했는데
이젠 지나온 자취에 미련이 더 남는다

살고 살아 욕심있었다면 하나라도 더 찍고 싶은 산이었는데
스스로 비웃듯 과정을 인위적으로 만들지 말아야겠다는 깨우침이 작동한다
머리속에 위험했던 순간도 몇 되새겨보고
편한 산행을 굳이 외면한 것도 아닌데
맞춤 산행이 왜 이리도 힘든 것인지
내일도 변하지 않는 것 중의 하나일 것이다

쫓기듯 살아온 삶에 심적 여유를 찾고자 시작한 산 찾기가
어느 덧 마음 한 구석 자리잡음에 뿌듯하다 할 것이다
앞으로도 가지 않은 길의 연속이라 그 궁금함 해소가
삶의 충전이 될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