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마락산(용인)

솟을산2 2022. 1. 3. 20:15

산행개요
산행일: 2022. 1.2 일요일
산행지: 마락산(용인)

산행자: 홀로
날씨: 흐림

기온: 영상
이동경로: 잠실역 환승센터 (5700A)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산행코스: 대웅개발연구원 - 두루봉 - 용인공원묘원 - 마락산 - 바리나무고개 - 서낭냉이고개 - 초부리

산행거리: 도상거리 약 9km

산행시간: 총 4시간

지도

산행에 강도와 빈도를 저울질하면서 보내던 때가 있었다

언제부턴가 내 기억에서 사라지고

일주일 단위가 한 달 단위로 건너뛰는 날이 많아졌다

이래서는 안됨을 익히 알고는 있지만

생각과 행동에 금이 갔으니 제대로 될리가 없다

 

걱정해주는 지인들도 거의 다 산 때문에 알게 된 분들인데

그 분들을 차지하고 내 자신을 위해서도 더 이상의 우유부단함은 끝내야 할 것이다

추위와 거리를 이유 삼아 다음을 노리던 횟수가 반복되면서 

다 한때라는 자위가 새삼 부끄럽다

 

성격상 웬만해선 눈에 꽂히면 바로 해결해야 하기에

다음으로 미룰 이유도 딱히 없겠다 싶어 바로 실천한다

태백종주(태화산~백마산)를 두고 옆구리 치고 오르내리는 제법 긴 능선 찾아간다

 

어제의 맹추위는 바로 꼬리를 내리고 

오늘은 날씨 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싶고

다만 뿌옇 하늘에 칼 같은 조망은 뒷전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10시에 산행 시작 

 

 

이곳으로 들어서고 

 

 

좌측으로 방향 튼다

 

 

산판길따라 올라서고

 

 

대웅 생명과학 개발원 내려본다

 

 

좌측으로 포곡

 

 

대웅개발원과 용인환경센터 갈림 

 

 

그냥 무명봉이려니 했는데 세재통에 매직으로 두루봉(311)

 

 

역시나 낙엽쌓인 길 - 등락도 없이 유순한 등로 -  하루종일 걸어도 피곤한줄 모르겠어

 

 

산고파님 이쪽 궁금했었지

선수쳐서 미안하고요

요즘 둘레길 많이 걷던데 딱 그짝입니다

 

낙엽이 바짝 마른것이 어제 잠깐 흘린 눈은 와 닿지 않고~

 

 

칼리토님 경기산 갈데 많다 했는데

들어서면 그 말씀 확실히 다가오고요

 

그 길이 그 길 같지만

우아한 곡선에 소나무와 참나무의 치장은 남부럽지 않고

 

 

휴양봉과 마락산 사이 활공장

 

 

서서히 윤곽이 드러나고 앞-좌(마구산)  가운데 머리(태화산)

 

 

중간에 소리소문없이 연락두절되는 분 많다했는데 

짚신 아이젠 새로 구입했으니

저 이러면 아직 산에 애착 가지고 있는 거 맞죠

 

묘지 통과하면서 정면으로 마락산과 그 좌옆 활공장 -그 사이 안부에서 내려오게 된다

 

 

흙길에서 포장도로로 바뀌고 묘지구간 통과하게 된다

 

 

오늘은 길만 봐도 풍족하네

조금만 젊었어도 달리겠는데~

 

 

우측 이동식 화장실 있는 곳에서 산길로 접어든다

능선 오르다 우측 임도로 빠지는 길도 있으나 능선 이어간다

 

 

비교적 완만한 절개지의 임도 만나고

 

 

애써 오르면 마락산(474.8m)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라 했는데

맞구나! 맞어!  묘지는 물론 골프장도 많어

나하고는 상관없지만 산은 걸어야지

 

허옇게 보이는 곳이 활공장인데 가지 않고 그 전에 내린다

 

 

몇주전에 와 봤으니 생생한데 여기가 바리나무고개라고

 

 

바람불어 겉옷 걸치고 먹는 거야 빵 한 조각에 커피 

마락산 막바지 오름빼곤 거의 산책수준 이런길만 다니고 싶다

 

 

용인 짚라인 - 이런게 있었나?

거리는 100m도 안되 보여

 

 

보이는 능선 너머로~

 

 

용인자연휴양림은 도로따라 내려가고 나는 산길따라 초부리로~

 

 

오토바이 흔적을 만나고
곤지암인가 어느 산에서는 주민이 나무가지로 통로를 막았던데

 

 

지루 할 틈도 없이 벌써 도로(상초하 - 서낭냉이고개)

 

 

혹신나 해서 뒤돌아 봤는데 이렇게 다르나?

정광산에서 마구산 라인

 

 

다 내려오니 방향 알려주고( 188.5m봉)

동쪽 상초하에서 왔고 서쪽은 초현 방향 리본 많고

좀 더 걸을 요량으로 북쪽 하부곡으로 간다

그래도 4시간 정도 소요

 

 

마지막 갈림에서 좌틀하여 초부리 정류소에서 1113번 광역버스로 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