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
2008.5.18 일요일
산행개요
1. 산행자 : 무크 ,솟을산
2. 산행거리 : 도상거리 약9.5km
3. 산행시간 : 총6시간 30분 (휴식시간 포함)
4.날씨: 약간 흐리다 오후 늦게 비
5.기온 : 산행하기에 알맞음
오늘은 제천의 금수산으로 간다.
뜻깊게도 약 2년 반만에 무크님과 산행을 하게 됬다.
그 친구도 나름대로 열심히 산행을 계속해왔고, 나 또한 산을 찾는데 게으르지는 않았다.
이른 아침 서울을 출발 이런 저런 지나간 얘기로 시간 가는줄 모르는 사이
산행 들머리인 상천리 휴게소 주차장에 도착한다.
주차료 3000원을 산중약자가 지불하고 간단히 산행준비후 계획한대로 산행에 나선다.
휴게소 왼쪽길로 5분 들어가면,
보문정사 닿기 전 우측 산밭길로 살짝 올라서면 능선 줄기가 곧바로 나타난다.
누군가 외롭게 올라간 듯 입구에 표시기가 덜렁 하나 걸려 있다.
초입부터 상당히 가파르고, 등로도 뚜렷하지 않으나, 그런데로 나아갈수는 있다.
그러나 중간중간마다 암석이 가로막아 등행하는데 약간의 애로는 있다.
산중약자가 -숙달된 조교의 시범인양- 치고 올라붙는데, 강단(剛斷)이다.
중간에 약간 완경사가 있을뿐, 알봉에 가까워지면서 급경사는 더욱 심해진다.
1시간 20분만에 도착한 전망좋은 알봉에서
아래쪽으로 오래골과 북쪽으로 금수산과 망덕봉의 하늘금이 흐린 날씨속에서도 그림같다.
알봉에서 살짝 우측으로 방향을 틀어 우회하면서 주능선인 796봉에 도착.
본격적으로 정상을 향해 내닫는다.
부처댕이봉 사면을 지나고 서팽이고개 삼거리를 거쳐,
생각보다 시간이 지체될 수 밖에 없는 날등같은 능선길을
지나치면서 매우 가파른 철 계단을 올라 산중약자와의 거리를 좁혀간다.
정상 주위에는 산객들이 많을 것 같아 앞서가는 산중약자에게 취식을 제안하니 수락하여
적당한 무덤 앞에 자리를 잡고 맛나게 도시락과 과일로 원기 충전한다.
그렇게 식사와 약간의 휴식을 겸하고 다시 정상을 향해 산행은 계속된다.
간간이 지나온 능선을 조망하면서, 도착한 금수산 정상에는 여러 산객들이 즐비하다.
정상비가 있고, 주변은 암릉으로 이루어졌다.
도상거리 약4km를 3시간20분(점심,휴식시간 20분 포함)만에 도착하니 그 여로가 험난했음이 증명된다.
조망은 사방이 확트여 시야가 닿을 수 있는 곳까지 관측된다.
북쪽으로 신선봉,학봉,미인봉이 하나의 능선에 걸려있고 그 뒤로 동산이 자리한다.
서쪽으로 가야할 망덕봉도 부드러운 능선상에 살포시 솟아있다.
아래쪽으로는 어댕이골과 정낭골이 합수되면서 이루어지는 용담폭포를 짐작으로 가늠해 본다.
살개바위고개에서 신선봉쪽 능선으로 약간의 알바를 했어도 망덕봉까지 30여분만에 통과한다.
망덕봉에서의 조망은 없다. 사방이 빽빽한 나무숲이다.
계속해서 좌측으로 고두실로 통하는 가마봉 능선과 나란히 하면서 하산길은 계속된다.
망덕봉에서 급경사길을 내려오고, 소용아릉을 밧줄에 의지하여 올라서면
빼어난 경치로 하산길은 더디지만, 눈과 마음은 벌써 건너편 능선에 가 있다.
잠시나마 신선이 된 기분을 뒤로한 채 너럭바위와 산부인과 바위
그리고 비석바위를 통과하고 나오는 갈림길에서
좌측 능선으로 방향을 잡고 내려서니 억새밭으로 된 임도가 나온다.
건너편 고사리봉은 지척에서 눈도장만 찍고 고두실로 하산 완료한다.
오늘 산행은 첫째 큰 의미는 없지만 전망좋은 알봉을 확인했고,
둘째 정상에서 무심코 가다간 신선봉 능선으로 빠지기 쉬우니
갈림길인 살바위고개에서 필히 망덕봉쪽 능선을 확인 해야하고,
셋째 소용아릉을 거쳐 나타나는 바위들과 함께 조망되는 뛰어난 경관은
오늘 산행의 백미(白眉)라 해도 과언은 아닐것 같다.
보문정사
능선에서
금수산
금수산(1016m)
금수산에서 조망
망덕봉(926m)
충주호 방향
산부인과 바위
상천휴게소
옥순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