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개요
산행일: 2013.4.9 화요일
산행지: 추읍산~꼬부랑산(용문)
산행자: 홀로
날씨: 바람, 눈
기온: 영상
이동경로: 회기역 - 원덕역
산행코스: 원덕역 - 금강사 - 추읍산 - 삼성리 - 꼬부랑산 - 섬실고개 - 용문역
산행거리: 도상거리 약 9km
산행시간: 총 4시간
지형도
산은 바라만 보라고 있는 것이 아니다.
직접 오름으로써 산에 대한 애착이 커지고
급기야 친근해져 자주 찾게 되는 것이다.
산에 무엇이 있길레 오르는 것일까?
그 흔한 나무, 돌, 풀 등 기본적인 자연의 요소 밖에 없다.
같은 바람이나 햇살이라도 도시와는 차별된다.
산중에서는 모든것이 그 느낌부터 소중하고 색다르다.
산을 대하는 맛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좋은 것은 사실이다.
또 산맛에 취할려고 부지런히 다니는 것이다.
그리하면 보이진 않지만 감성 또한 무궁히 쌓이는 것이다.
추읍산은 몇 번 찾게 되는 것인지,
걷기 위한 산행이니 횟수는 별 상관없다.
또한 하산은 용문역으로 가야 하니 앞산인 꼬부랑산을 다시 한번 넘는다.
원덕역에서 바라보는 추읍산은 언제봐도 중절모 모습이다.
오늘은 정규등산로를 버리고,
좀더 길게 다른 코스를 잡는다.
원덕슈퍼를 지나 원덕초교 앞이다.
그리고 원덕교 마저 건넌다.
좌측으로 흑천을 따라 가다 보면
야산사이에 길이 있어 마을로 통한다.
그 길로 한참가니 마을이 나타나고,
들머리를 창신교회나 금강사 중 택일한다.
금강사에 이르니 개들이 짖어대고,
뒤쪽으로 올라서면서 산행은 시작된다.
원덕역에서 가야할 이어지는 능선
원덕슈퍼(우측으로 진행)
원덕교에서 바라보는 흑천 뒤로 추읍산
언덕을 넘어 길은 마을로 이어진다
들머리인 금강사
첫봉은 질러가고 두번째 봉에서 부대를 만난다.
휀스따라 가고, 올라선 갈림봉에서 조금 더 진행해 식사하고 간다.
강풍이 몰아치니 날씨가 예사롭지 않다.
부드러운 능선을 따르면 임도가 나타나 내려가고,
다시 건너편으로 올라서면 나무의자와 평상이 있어 휴양림 같은 분위기다.
다문리에서 삿갓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추읍산 아래 임도
부대 휀스 좌측 진행
임도에 설치된 위치도
서서히 고도를 높이고 마침내 된비알 능선을 올라서는데
날씨가 꾸물대더니, 눈이 내린다.
나무는 그 흔들림이 한여름 태풍과 같은 기세로 불어대는 바람에
언제 넘어갈지 모르는 순간이다.
요즈음 봄날씨는 항상 그래왔지만,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 딱 제격이다.
이리저리 흔들리는 나무사이로 부지런히 올라서 정상에 선다.
회색빛으로 보이는 것은 없다.
욕심은 항상 끝이 없다.
보고 또 봐도 다시 보고 싶은 것이 자연이기 때문이다.
서둘러 하산한다.
올라왔던 갈림을 지나 서서히 내려간다.
한참을 내려가면 원덕역과 용문역으로 가는 갈림이 나온다.
약수터 방향 이정목 있는 곳까지 가면 안된다.
갈림에서 우측 임도 수준의 길은 휘어져 내려가게 된다.
안부에서 오르는 길은 암릉이 짧게 이어지고,
마지막 봉을 넘으면 끝에 갈림이 나온다.
추읍산(583m)
약수터 방향 이정목 있는 곳까지 내려왔으면 알바
다시 백하여 갈림(직진은 약수터 방향 이정목 길 , 우측은 휘어져 내린다)
좌측으로 내리면 중앙선 터널이 나오고
다시 삼성리로 내려오다 우측 안부인 곳으로 오른다.
이쪽에도 개들이 짖어대니 어딘들 조용히 다닐 수 없다.
가까이 꼬부랑산에 도착하니 용문 방향 조망좋다.
하산은 섬실고개에서 지그재그 내려면 금방이다.
완벽하게 설치된 징검다리 건너니 용문역이 보인다.
행복은 찾으면 주변에 얼마든지 널려 있다.
혼자 노는 법을 알면 시간이 귀중하고 아깝다.
무료하거나 지루함은 몸을 너무나 쉽고도 빨리 늙게 만든다.
산을 다니는 것만으로도 건강하다는 증거다.
중앙선 터널
삼성리에서 안부 방향으로 진입
꼬부랑산(280m)
용문시내 조망( 좌 - 곰산)
꼬부랑산에서 저녁 노을
섬실고개
징검다리
용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