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북한산(달맞이 능선)

솟을산2 2014. 1. 27. 21:38

 


산행개요
산행일: 2014.1.26 일요일
산행지: 북한산
산행자: 홀로
날씨: 맑음, 쾌청
기온: 영하, 영상
이동경로: 경동시장앞(130번 버스) - 우이동 종점
산행코스: 도선사 - 용암문 - 만경대 우회 - 백운산장 - 잠수함 바위 - 인수암 - 하루재 - 백운2 지킴터
산행거리: 도상거리 약 5km
산행시간: 총 3시간 30분
개념도

 

명절을 앞두고 지방으로의 출장은 부담이 되어 북한산으로 간다.
그것의 징조는 아침에 뭉그적 거리면서 시작된다.
점심을 집에 와서 먹을까 하다가 가볍게 빵 몇 조각 챙긴다.
우이동 종점에서 시작하여,
소귀천으로 빠지는 갈림에서 백운2지킴터로도 오르지 않는다.
도로따라 걷지 않아도 될 둘레길(?)이 급조되어있다.
나무계단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바닥에 깔았으니
미끄럽지도 않고 푹신하니 금상첨화다.

길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반은 계단이요
반은 평지처럼 만들었으니,
골라 걸으면 된다.
또 자연을 크게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도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사면으로 길을 내었다.
점점 좋아지는 배려는 삶의 윤택과 상통한다.

도로로 내려와 다시 이어지는 구간에서
쉼터인 곳에 붙임바위라 하는 제법 큰바위가 있다.
옛날 도선사 가기 전에 소망을 빌었던 바위인데,
돌을 바위에 붙이면 소원이 이루어 진다나~
과거엔 돌을 바위에 붙이는 신통력도 있었나보다.

지금도 각 사찰이나 명승지에서는
소원을 비는 관습이 여전하다.
부처상이나 동자상, 혹은 하루방과 미륵불의 
귀를 만지거나 코를 비비는 것, 탑주의를 도는 것,
해탈문 같은 곳의 통과도 재미삼아 하는 행위일 것이다.
실제 절실히 믿고 행한다면 어리석지 않을 수 없다.

 입구

 도선사 가는 새로 생긴 길

 포장도로와 나란히~

 도선사 가는 길

도로변 붙임바위

도선사 주차장과 연결도로변엔 이미 차량들로 북세통이다.
각기 소원을 빌며 바랄 것이다.
이것을 두고 기복신앙이라 하던데,
인간이 정말 천당과 지옥을 믿는다면,
행실에 주의를 해야지 믿음만으론 무의미 할 것이다. 

불교의 사바세계나 기독교의 창세기가 인류의 기원이라 하고,
창조론과 진화론이 거듭 쟁점이 되어 왔다.
우주엔 지구외에 비슷한 별이 수없이 많은 걸 봐서도,
인간이 만물의 영장일 수 없고,
진화론보단 창조론이 좀더 신빙성에 가깝다고 본다.

과학적 근거없이는 믿기 힘든 세상이지만,
그것으로도 풀수 없는 일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
만유인력이나, 수(數)의 성립, 이분법 등도
이미 우리가 알기 전 부터 행하여 지고 있다는 논리다.

도선사에서 용암문으로 향하는 계곡길은,
주능선에 접근하기엔 가장 빠른 길이다.
그래서인지 많은 이들이 즐겨찾는 곳인데,
오늘은 왠지 한적하여 썰렁한 느낌마져 든다.

갈림이 없고 막판에만 약간 된비알 오름이지
아주 무던하고 편한 산길인데 ~
너무나 많이 다녔던 길이라,
모두 다른 코스로 이동하였나?

배가 고프지 않아도
때가 되면 밥을 찾듯이 쌀은 우리의 주식이다.
산을 좋아하는 이들은 같은 이유를 들 것이다.
자주 다녔어도 열 손가락에도 못미칠 것을,
계절 탓도 있으려나,
여느 때의 북한산 답지 않은 감성으로 용암문에 닿는다.

 도선사

용암문

노적봉을 쳐다보면,
정규 등산로는 그쪽으로 이어지지만,
정면의 금줄을 넘어 성벽을 따라가야만 만경대로 갈 수 있다.
그 전 용암봉이 우뚝 버티고 있지만,
용기내어 올라 설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위세에 벌써 주눅이 들고,
혹시나 가까이 접근하여 올려다 보는 것과
내려다 보는 것 모두가 나와는 상관없는 세상이다.

해맑은 날씨에 성벽은 원래 흰색이지만,
누군가 걸레로 막 닦아 놓은 것처럼 깨끗한 모습으로 보인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곳에서 성벽을 넘어 우회길로 간다.
희미하지만, 그런대로 족적은 있다.
기암도 있어 몇번을 넘거나 올라서서 우이동 방향을 내려본다.
능선과 계곡의 합창은 북한산이 아닌 낯선곳에 온 느낌이다.

약7~8부 능선을 따르는데,
마치 뱀이 기어가듯 물결치듯 이어진다.
잘 살피면 아래쪽 도선사가 손바닥 크기만 하고,
위로는 만경대 암릉이 보여진다.
보통 위에서 내려다봐야 그 위용을 알 수 있는데,
반대로 올려다 봐도 그 험난함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앞쪽에 드디어 족두리바위인가 하는 바위가 툭 솟아 보인다.

 금줄이지만 우회길은 가도 될 듯~

 날씨만큼이나 깨끗한 성벽

 산불감시초소

 용암봉 가는 성벽길

 우측 노적봉 남사면과 의상능선

 용암봉 가는 성벽에서 바라본 노적봉

 도선사가 관측된다

깔딱고개쪽으로 족두리바위

이어 금줄을 다시 넘어,
인수봉쪽으로 눈을 돌리니 백운산장이 보여 발길을 그리로 옮긴다.
산장 위쪽에 백운암을 지나 달맞이 능선이라 하는곳으로 내린다.
인수봉이 파란 하늘을 배경으로 하얗 민머리를 자랑하고 있다.
바위슬랩 구간이 있어 상당히 조심하면서 내리고,
좌측으로 잠수함바위 모양의 큰 바위가 볼거리다.

마져 내리면 인수암과 인수구조대가 자리하고,
여기서 부터 아이젠 착용하면서 오르는 등산객들이 많다.
몇 시간 지났지 않았지만,
하루재에서 돌길따라 내리기로 한다.
중간쯤 이정표 있는 곳에서
좌측 길 터진 곳을 통해 백운2 지킴터로 하산한다.
이길은 역으로 올라설때는 영봉이 잘 보이면서
제법 힘들게 올랐던 기억이 나는데,
오늘은 역으로 내려가니 이렇게 편할 수가 없다.

이불속에 들어서면
머리속으로 상상만 하는 안락함과 게으름에서 헤어나올 수 없다.
혹시나 흐름을 잊을까
강단하여 찾아나서면 언제 그랬냐식으로
연타석으로 가고픈 마음도 굴뚝같지 않았던가?
그런 마음을 갖고 또 하루의 산행을 마감한다.

 백운산장

 백운암

 

 잠수함 바위

잠수함바위와 인수봉

 인수대피소

 하루재

 도선사 못 미쳐 갈림

백운2지킴터